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273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273개 세 글자:854개 네 글자:950개 다섯 글자:510개 여섯 글자 이상:700개 모든 글자:3,288개

  • : (1)삼론종의 주요 경전 세 가지. ≪중관론≫, ≪십이문론≫, ≪백론≫을 이른다.
  • : (1)사람의 착한 마음을 해치는 세 가지 번뇌. 욕심, 성냄, 어리석음 따위를 독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2)세 번 읽음. (3)인삼이 체질에 맞지 아니하거나 병의 증세와 맞지 아니하여서, 또는 지나치게 많이 먹어서 생기는 신열(身熱).
  • : (1)≪노자≫, ≪장자≫, ≪주역≫을 통틀어 이르는 말. (2)거문고, 가야금, 향비파의 세 가지 현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3)소승 불교의 수행론에서, 진리를 발견하기 위한 준비 단계인 세 가지 기초 수행. 오정심관(五停心觀), 별상염주(別相念住), 총상염주(總相念住)이다. (4)대승 불교에서, 십주, 십행, 십회향의 수행 지위에 있는 보살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봄, 여름, 가을 세 철에 걸치는 농사일. (2)무성(無聲)의 음악과, 무체(無體)의 예(禮)와, 무복(無服)의 상(喪)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곧 형체는 없고 그 정신만 있음을 이른다. (3)무기(無記), 무리(無利), 무익(無益)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세 차례에 걸친 변화. 또는 세 가지 변화. (2)세 번 변화한다는 뜻으로, 크게 변함을 이르는 말.
  • : (1)조선 시대에, 선조 16년(1583)에 이이를 비난하고 공격한 송응개, 박근원, 허봉을 각각 회령, 강계, 종성으로 귀양 보낸 일.
  • : (1)제사를 지낼 때에, 술을 세 번 부어 올림. 또는 그때 쓰는 술잔. 초헌(初獻), 아헌(亞獻), 종헌(終獻)을 이른다.
  • : (1)전세(前世), 현세(現世), 내세(來世)의 세 가지. (2)천태종에서, 모든 존재의 실상을 밝히는 세 가지 진리. 공제, 가제, 중제 또는 진제, 속제, 중제이다. (3)풀을 깎듯이 베어 없애 버림.
  • : (1)한자 부수의 하나. ‘麽’, ‘麾’ 따위에 쓰인 ‘麻’를 이른다.
  • : (1)광물성 녹색 안료 가운데 가장 엷은 녹색. 단청이나 산수화 따위에 쓰인다. (2)‘상록’의 방언
  • : (1)세 가지의 착한 일. 부모에 대한 효도, 임금에 대한 충의, 장유(長幼)에 대한 예절을 이른다. (2)초선(初善), 중선(中善), 후선(後善)의 세 가지. 불법이 언제나 훌륭함을 이르는 말로, 처음과 중간과 나중이 다 선하다는 뜻이다. (3)세 번 당선됨.
  • : (1)신라 때에, 골품 가운데 왕족과 귀족을 이루던 세 가지 혈통. 성골, 진골, 육두품을 이른다.
  • : (1)셋째 딸. (2)세 딸.
  • : (1)율시의 운을 다는 방법의 하나. 한 구씩 거른 격구(隔句)에 압운(押韻)을 하므로 육구(六句)가 그 대상이 된다.
  • : (1)세 가지의 울증(鬱症)을 이르는 말. 성을 몹시 내서 생긴 울증, 생각을 몹시 해서 생긴 울증, 근심을 몹시 해서 생긴 울증을 이른다.
  • : (1)‘삼베’의 옛말. (2)삽주의 하나.
  • : (1)예전에, 혼인하기 어려울 만큼 가난한 집안 셋이서 딸을 돌려 바꾸어 아들을 장가들이던 혼인. (2)대승기신론에 나오는 세 가지 미세한 정신 작용. 업상(業相), 전상(轉相), 현상(現相)이다. (3)사람의 마음에 있는 세 가지 영혼. 태광(台光), 상령(爽靈), 유정(幽精)을 이른다. (4)세 번 결혼함. 또는 그런 결혼.
  • : (1)절에서 감무(監務), 감사(監事), 법무(法務)의 심부름을 하는 승려. (2)세 사람의 보증인. (3)중생이 지은 업(業)으로 받는 세 시기의 과보(果報). 순현보, 순생보, 순후보를 이른다. (4)중국 전한(前漢)의 무제 때에, 장안(長安) 부근에 둔 세 행정 구역. 또는 그곳의 장관. 장안 동쪽의 경조(京兆)ㆍ장릉(長陵), 북쪽의 좌풍익(左馮翊)ㆍ위성(渭城), 서쪽의 우부풍(右扶風)을 이른다. (5)고려 시대에, 태위(太尉)ㆍ사도(司徒)ㆍ사공(司空)의 세 벼슬을 통틀어 이르던 말. 삼사(三師)와 함께 임금의 고문 구실을 하는 국가 최고의 명예직으로 초기에 두었다가 공민왕 때에 없앴다. (6)세 가지 보배라는 뜻으로, 귀와 입과 눈을 이르는 말. (7)자비(慈悲)와 검소(儉素)와 겸손(謙遜)을 이르는 말. (8)토지와 국민과 정치를 이르는 말. (9)불보(佛寶), 법보(法寶), 승보(僧寶)를 이르는 말. (10)러시아에서 개발한 독특한 격투기. 유도와 레슬링의 요소를 가미한 것으로, 8미터 사방의 매트에서 메치기나 굳히기를 구사하여 승패를 겨룬다. (11)‘삼베’의 방언
  • : (1)골패에서, 위쪽에 비스듬히 있는 세 개의 구멍과 아래쪽에 두 줄로 세운 여섯 개의 구멍이 있는 골패 짝.
  • : (1)‘삼경’의 방언
  • : (1)도를 닦는 데 방해가 되는 세 가지 번뇌. 견사혹, 진사혹, 무명혹이다. 이 가운데서 견사혹은 성문, 연각, 보살이 함께 끊을 수 있는 것이므로 통혹(通惑)이라 하고, 진사혹과 무명혹은 보살만이 끊는 것이므로 별혹(別惑)이라 한다.
  • : (1)아침, 점심, 저녁의 세 끼 식사. (2)마음가짐의 더럽고 청정함에 따라 나누는 세 가지. 말나식, 아뢰야식, 암마라식이다. (3)세 가지 마음가짐. 진식, 현식, 분별사식이다. (4)궁중에서, 제사 지낼 때 두(豆)에 담던 제물.
  • : (1)세 가지의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되는 일. (2)천지(天地)의 세 신(神). 천일(天一), 지일(地一), 태일(泰一)을 이른다. (3)도가(道家)에서, 정(精)ㆍ신(神)ㆍ기(氣)의 셋이 섞여 하나가 된 허무의 도(道)를 이르는 말. (4)해산하거나 혼인한 지 사흘째 되는 날. (5)음력 삼월 초사흗날. (6)주일 후 사흘째 되는 날. 곧 ‘수요일’을 이른다.
  • : (1)액체가 안에서 밖으로 스며 나옴. (2)혈관이나 림프관 따위와 같은 맥관(脈管)의 내용물이 맥관 밖으로 스며 나옴. 또는 그런 일. 급성 염증이 있을 때 볼 수 있는 현상으로 단백 성분이 많다는 점에서 누출액과 구분한다.
  • : (1)조선 시대에 둔 세 군영. 훈련도감, 금위영, 어영청을 이른다.
  • : (1)대종교에서, 조화신 한임, 교화신 한웅, 치화신 한검의 삼신을 이르는 말. (2)살인 사건이 일어났을 때, 시체를 세 번씩 검사하던 일. 또는 그 세 번째 검사. 첫 번째는 지방관이, 두 번째는 인근의 다른 지방관이, 세 번째는 삼검관이 각각 검사하였다.
  • : (1)고려 시대에, 태위(太尉)ㆍ사도(司徒)ㆍ사공(司空)의 세 벼슬을 통틀어 이르던 말. 삼사(三師)와 함께 임금의 고문 구실을 하는 국가 최고의 명예직으로 초기에 두었다가 공민왕 때에 없앴다. (2)의정부에서 국가 주요 정책을 결정하는 일을 맡아보던 세 벼슬. 영의정, 좌의정, 우의정을 이른다. (3)중국에서, 최고의 관직에 있으면서 천자를 보좌하던 세 벼슬. 주나라 때는 태사(太師)ㆍ태부(太傅)ㆍ태보(太保)가 있었고 진(秦)나라, 전한(前漢) 때는 승상(丞相)ㆍ태위(太尉)ㆍ어사대부(御史大夫), 또는 대사마(大司馬)ㆍ대사공(大司空)ㆍ대사도(大司徒)가 있었으며 후한(後漢), 당나라, 송나라 때는 태위(太尉)ㆍ사도(司徒)ㆍ사공(司空)이 있었다. (4)고려 시대에, 과거의 제일 차 시험에 합격한 상공(上貢), 향공(鄕貢), 빈공(賓貢)을 통틀어 이르던 말. 국자감에서 다시 간단한 시험을 치른 다음, 최종 시험인 감시(監試)를 보게 하였다.
  • : (1)호조, 형조, 공조를 통틀어 이르던 말. (2)시를 짓는 재능이 뛰어난 중국 위나라의 조조, 조비, 조식 세 사람을 통틀어 이르던 말. (3)연(年)ㆍ월(月)ㆍ일(日)의 처음이라는 뜻으로, 정월 초하루의 아침을 이르는 말. (4)그달의 세 번째 날. 또는 그날의 아침. (5)삼대의 조정(朝廷). (6)갓난아이가 태어난 지 3일째 되는 날. (7)중국 주나라의 아악(雅樂)에서 사용하던 세 곡조. 평조(平調), 청조(淸調), 슬조(瑟調)를 이른다.
  • : (1)십의 세 배가 되는 수. (2)그 수량이 서른임을 나타내는 말. (3)그 순서가 서른 번째임을 나타내는 말.
  • : (1)악인이 죽어서 가는 세 가지의 괴로운 세계.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이다. (2)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세 명의 임금. 천황씨(天皇氏)ㆍ지황씨(地皇氏)ㆍ인황씨(人皇氏)로 보는 설과 수인씨ㆍ복희씨ㆍ신농씨로 보는 설이 있으며, 복희씨ㆍ신농씨ㆍ헌원씨로 보는 설 따위의 여러 학설이 있다. (2)거친 풀을 베어 버림.
  • : (1)‘삼렬하다’의 어근.
  • : (1)가죽으로 만든 갑옷, 투구, 방패를 이르는 말.
  • : (1)거문고를 연주할 때에, 줄을 힘 있게 누르고 계속 올려 치는 기법.
  • : (1)‘소용’을 달리 이르는 말. 삼삭대엽을 천둥소리처럼 부르는 곡이라는 뜻에서 이르는 말이다. (2)천뢰(天籟), 지뢰(地籟), 인뢰(人籟)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삼각형’의 방언
  • : (1)남사당패의 놀이인 대접돌리기에서, 짧은 담뱃대ㆍ긴 담뱃대ㆍ앵두나무 막대기를 차례로 세운 뒤에 대접을 올려서 돌리는 재주. (2)겨울의 석 달. (3)세 해의 겨울. (4)세 가지의 물건을 합함. 또는 그렇게 합한 것. (5)머리, 몸, 팔다리의 세 부분을 합한 것.
  • : (1)대궐이나 관청 앞에 세운 세 문. 정문, 동협문, 서협문을 이른다. (2)해탈을 얻는 세 가지 방법. 공 해탈문, 무상 해탈문, 무작 해탈문이다. (3)교종, 선종, 율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관상에서, 이마와 코와 턱을 이르는 말. 이마를 천(天), 코를 인(人), 턱을 지(地)로 본다. (2)진공관의 세 극. 양극, 음극, 그리드(grid)를 이른다.
  • : (1)삼나무의 울타리. (2)오줌이 순하게 나오도록 하는 치료법.
  • : (1)‘삼태기’의 방언
  • : (1)부모, 형제, 처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아버지, 아들, 손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3)부계(父系), 모계(母系), 처계(妻系)를 통틀어 이르는 말.
  • : (1)삼 껍질을 벗기는 데에 사용되는 톱. 삼 껍질을 펴 놓고 삼톱으로 누르며 껍질을 잡아당긴다
  • : (1)삼의 씨. 장(腸)에 진액(津液)이 부족하여 생기는 변비에 쓴다.
  • : (1)가을의 석 달. (2)세 해의 가을. (3)긴 세월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상추’의 방언
  • : (1)아버지의 형제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특히 결혼하지 않은 남자 형제를 이르거나 부른다. (2)방계로는 부모와 같은 항렬의 백부모․숙부모 또는 형제의 자녀와의 촌수.
  • : (1)조선 시대 무관을 뽑는 시험에서, 달음질의 셋째 등급을 이르는 말. (2)나라의 제향에 쓰는 세 가지 술. 사주, 석주, 청주를 이른다.
  • : (1)삼의 줄기. (3)체대(體大), 상대(相大), 용대(用大)의 세 가지. 만유의 본체와 속성과 작용이 절대(絕大)하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이다. (4)아버지, 아들, 손자의 세 대. (5)고대 중국의 세 왕조. 하(夏), 은(殷), 주(周)를 이른다. (6)염상섭의 장편 소설. 주인공 덕기와 조부, 아버지의 삼대를 다루면서 3ㆍ1 운동을 전후한 우리나라의 혼란하고 암담한 시대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작품이다. 1931년에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다.
  • : (1)축생도에서, 용이나 뱀의 몸으로 받는 세 가지 고통. 열풍(熱風)이나 열사(熱沙)에 몸을 태우는 일, 거센 바람으로 거처(居處)와 의식(衣飾)을 잃는 일, 금시조가 내려와 새끼를 잡아먹는 일을 이른다. (2)인삼이 체질에 맞지 아니하거나 병의 증세와 맞지 아니하여서, 또는 지나치게 많이 먹어서 생기는 신열(身熱).
  • : (1)누에가 두잠에서 깬 뒤부터 세 잠을 잘 때까지의 사이. (2)천(天), 지(地), 인(人)을 통틀어 이르는 말. (3)천, 지, 인의 신(神). (4)일(日), 월(月), 성신(星辰)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도가(道家)에서, 으뜸으로 여기는 세 가지. 하늘(天), 땅(地), 물(水)을 이른다. (2)일본 음악에서, 생(笙), 적(笛), 피리의 세 악기를 이르는 말. (3)조선 시대에, 문서를 다루는 일을 맡아보던 세 관아. 홍문관, 예문관, 교서관을 이른다. (4)몸의 세 가지 중요한 곳. 입, 귀, 눈을 이른다. (5)불도를 깨닫는 세 가지 관문. (6)진리를 관찰하는 세 가지 방법. 천태종에서 공관(公觀), 가관(假觀), 중관(中觀)으로 나누는 것 따위이다. (7)어떤 분야에서, 최고 자리나 승부를 겨루는 세 부문이나 세 종목.
  • : (1)삼 껍질에서 뽑아낸 실. (2)세 번째로 맞이한 아내. (3)낡은 재목으로 세 번째 고쳐 지은 집.
  • : (1)길이가 석 자 정도 되는 긴 칼. (2)‘법률’을 이르던 말. 고대 중국에서 석 자 길이의 죽간(竹簡)에 법률을 썼던 데서 유래한다. (3)강원도 동남부에 있는 시. 광업ㆍ수산업이 주요 산업이며 무연탄과 해산물의 집산지이다. 죽서루, 초당 동굴(草堂洞窟), 두타산 따위의 명승지가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삼척군을 통합하여 도농(都農) 복합 형태의 시를 이루었다. 면적은 1,185.81㎢.
  • : (1)잡념을 떠나서 오직 하나의 대상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경지. 이 경지에서 바른 지혜를 얻고 대상을 올바르게 파악하게 된다. (2)어느 한때라는 뜻으로, 경전의 첫머리에 쓰는 말.
  • : (1)작고 연한 물건이 잘 드는 칼에 쉽게 베어지는 소리. 또는 그 모양. (2)눈까풀을 움직이며 눈을 한 번 감았다 뜨는 모양. (3)중생을 얽매어 해탈을 방해하는 세 가지 근본 번뇌. 탐박, 진박, 치박을 이른다.
  • : (1)세 방면.
  • : (1)‘겨릅대’의 방언
  • : (1)중국 북송 때의 정규군인 금군(禁軍)을 총괄하던 최고 군사 기구. 전전도지휘사사(殿前都指揮使司), 시위친군마군사(侍衛親軍馬軍司), 시위친군보군사(侍衛親軍步軍司)의 세 군사 기구를 이른다. (2)조선 시대에 저고리 안에 입던 속옷. 홑겹으로 되어 있고, 남녀 공용이다.
  • : (1)구성(九星)의 하나. 목성을 이르는 말로 기본 자리는 동쪽이다.
  • : (1)임진왜란 때에, 용명(勇名)을 떨친 주몽룡, 정기룡, 강덕룡(姜德龍)의 세 무장(武將)을 통틀어 이르던 말.
  • : (1)세 가지의 빛깔. (2)제사 지낼 때에, 상에 올려놓는 세 가지 과실. 밤ㆍ대추ㆍ잣 또는 밤ㆍ대추ㆍ감을 이른다. (3)바탕이 되는 세 가지 색. 그림물감에서는 자홍ㆍ청록ㆍ노랑이고, 빛에서는 빨강ㆍ초록ㆍ파랑이다. (4)물질적 존재를 세 가지의 범주로 나눈 것. 오근, 오경, 무표색이다.
  • : (1)인쇄물의 교정 과정에서 재교(再校) 다음 세 번째로 보는 교정. 또는 교정지.
  • : (1)삼공(三公)과 구경(九卿)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부추로 만든 세 가지의 반찬이라는 뜻으로, 청빈함을 이르는 말. ‘구(韮)’와 ‘구(九)’의 음이 통한 데서 온 말이다. (3)선행을 하지 못하게 막는 영혼의 세 가지 원수. 육신, 세속, 마귀를 이른다. (4)‘삼신산’을 달리 이르는 말. (5)사람의 마음을 더럽히는 세 가지 번뇌. 욕심, 성냄, 어리석음을 이른다. (6)임금으로서 두려워해야 할 세 가지 일. 윗사람으로서 아랫사람의 말을 참고하지 않는 일, 나이 들어 교만해지는 일, 듣기만 하고 행하지 않는 일을 이른다.
  • : (1)풍물놀이나 민속 음악에서, 징 따위를 세 번 침. (2)낮은 화도(火度)에서 녹는 잿물을 발라서 구운 도기(陶器). 녹(綠)ㆍ황(黃)ㆍ백(白)의 세 가지 빛깔을 띠며, 성당(盛唐)의 당삼채가 유명하다.
  • : (1)≪예기≫에서 말하는 세 가지의 효행. 어버이를 우러러 받들고, 욕보이지 아니하며, 잘 봉양하는 일을 이른다.
  • : (1)배의 바닥에 댄 널. (2)항구 안에서 사람이나 짐을 실어 나르는 중국식의 작은 돛단배. (3)삼나무로 된 널빤지.
  • : (1)예전에, 시문을 평가하는 등급 가운데 셋째 등급의 둘째. (2)국궁에서, 활을 다섯 번 쏘아 그 가운데 세 번을 맞힘. (3)세 겹. 또는 셋이 겹쳐 있거나 세 번 거듭됨. (4)불교 음악의 성명(聲明)에서, 음역을 셋으로 나눌 때 가장 높은 음역.
  • : (1)셋째 아들. (2)세 아들. (3)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세 지방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삼으로 만든 띠.
  • : (1)사람의 세 가지 욕심. 식욕(食慾), 수면욕(睡眠慾), 음욕(淫慾)을 이른다.
  • : (1)‘삼숙하다’의 어근. (2)인삼과 숙지황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1)사람의 세 가지 성품. 선성(善性), 악성(惡性), 무기성(無記性)이다. (2)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3)고려 시대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4)의정부, 사헌부, 의금부의 관원들이 합좌하여 패륜을 범한 죄인을 국문하던 일. (5)중국 당나라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6)발해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대성, 선조성, 정당성을 이른다. (7)만주 지린성 북부에 있는 개시장(開市場). 무단강과 쑹화강이 만나는 곳에 있으며 잡곡, 목재, 소가죽 따위의 집산지이다. ⇒규범 표기는 ‘싼성’이다. (8)우리나라 상고 시대의 세 성인. 환인(桓因), 환웅(桓雄), 환검(桓儉)을 이른다. (9)세계의 세 성인. 석가ㆍ공자ㆍ예수, 또는 노자ㆍ공자ㆍ석가를 이른다. (10)중국 고대의 세 성인. 노자ㆍ공자ㆍ안회, 또는 복희ㆍ문왕ㆍ공자, 또는 요(堯)ㆍ순(舜)ㆍ우(禹), 또는 우ㆍ주공ㆍ공자를 이른다. (11)고대 그리스의 세 성인.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를 이른다. (12)이십팔수 가운데 스물한째 별자리의 별들. 오리온자리에 있으며, 중앙에 나란히 있는 세 개의 큰 별을 ‘삼형제별’이라 한다.
  • : (1)한강의 세 부분을 통틀어 이르는 말. 한남동 일대의 한강, 용산과 원효 일대의 용산강, 마포와 서강 일대의 서강을 이른다. (2)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 강령. 임금과 신하, 부모와 자식,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로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을 이른다. (3)사원의 관리와 운영의 임무를 맡은 세 가지 승직. 승정, 승도, 율사를 이르거나 상좌, 사주, 유나를 이른다.
  • : (1)부계(父系), 모계(母系), 처계(妻系)의 삼족(三族)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세 가지가 잘 어울려 딱 들어맞음. (2)세 신위를 함께 지내는 제사
  • 굿 : (1)껍질을 벗기기 위하여 삼을 넣고 찌는 구덩이나 솥. (2)껍질을 벗기기 위하여 삼을 구덩이나 솥에 넣고 찜. 전통적으로는 구덩이를 파고 자갈을 넣은 다음 불을 지펴 뜨겁게 달군 후 자갈 위에 삼을 올리고 흙을 덮은 뒤 물을 부어 그 열기로 찐다. 구덩이 위에 큰 솥을 걸고 물을 부어 끓이면서 그 속에 삼단을 담가 돌리면서 찌기도 한다.
  • : (1)같은 땅에서 1년에 종류가 다른 농작물을 세 번 심어 거둠. 또는 그런 방식.
  • : (1)대금, 중금, 소금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저(笛), 생황, 피리의 세 관악기를 이르는 말. (2)대금, 중금, 소금을 통틀어 이르는 말.
  • : (1)나이가 든 후에 세 번이나 젊어졌다는 중국 진(陳)나라의 미인 하희(夏姬)를 이르는 말. (2)젊어서 유명했던 중국 진(晉)나라의 세 사람. 왕희지, 왕승(王承), 왕열(王悅)을 이른다. (3)젊어서 유명했던 중국 당나라의 세 사람. 이사진(李嗣眞), 유헌신(劉獻臣), 서소(徐昭)를 이른다. (4)중국 주나라 때의 삼공(三公) 다음가는 세 벼슬. 소사(少師), 소부(少傅), 소보(少保)를 이른다. (5)상소(上消), 중소(中消), 하소(下消)의 세 가지 소갈증을 통틀어 이르는 말. (6)동양화 화제(畫題)의 하나. 중국 진(晉)나라의 혜원 법사가 루산산(廬山山)의 동림사(東林寺)에 은거하면서, 후시(虎溪)를 건너지 않기로 하였으나 도연명, 육수정(陸修靜)을 배웅할 때 무심코 건너 버려 세 사람이 크게 웃었다는 고사를 바탕으로 한다. (7)고려 중기 이후에, 사라져 가는 개경의 지덕(地德)을 되살리기 위하여 새로 궁궐을 지었던 세 곳. 지금의 장단 백학산(白鶴山)인 좌소(左蘇), 개풍 백마산(白馬山)인 우소(右蘇), 신계 기달산(箕達山)인 북소(北蘇)의 세 곳을 이른다. (8)중국 송나라 때 세 사람의 문장가. 소순, 소식, 소철의 삼부자를 이른다.
  • : (1)아는 체, 잘난 체, 있는 체를 속되게 이르는 말. (2)천태종에서, 모든 존재의 실상을 밝히는 세 가지 진리. 공제, 가제, 중제 또는 진제, 속제, 중제이다. (3)세 개의 형체나 물체. (4)물질의 세 가지 상태. 기체, 액체, 고체를 이른다. (5)중국 명나라 때부터 그림을 구분한 세 가지 양식. 대상에 충실한 형체ㆍ색채ㆍ선을 운용한 해체, 대상을 가장 단순화한 초체, 그 중간의 행체를 이른다. (6)서도(書道)에서, 해서ㆍ초서ㆍ행서의 세 서체를 이르는 말. (7)국악에서, 곡조의 세 가지 빠르기를 나타내는 말. 만(慢)ㆍ중(中)ㆍ삭(數), 만기(慢機)ㆍ중기(中機)ㆍ급기(急機), 일ㆍ이ㆍ삼 따위로 나타내어 각각 느리게, 보통 빠르기로, 빠르게 연주하라는 말이다. (8)주로 인터넷상에서 글을 쓸 때, 문미에 ‘-삼’을 사용하여 문장을 종결하는 방식.
  • : (1)음양설에서, 상원(上元)ㆍ중원(中元)ㆍ하원(下元)의 세 가지 갑자를 이르는 말. (2)관상에서, 이마와 코와 턱을 이르는 말. 이마를 천(天), 코를 인(人), 턱을 지(地)로 본다. (3)연(年)ㆍ월(月)ㆍ일(日)의 처음이라는 뜻으로, 정월 초하루의 아침을 이르는 말. (4)세상의 시작ㆍ중간ㆍ끝을 통틀어 이르는 말. (5)향시, 회시, 정시에서 수석(首席)을 차지한 사람. (6)도가(道家)에서, 으뜸으로 여기는 세 가지. 하늘(天), 땅(地), 물(水)을 이른다. (7)방정식에서 모르는 수가 셋임을 이르는 말. (8)동양의 천문학에서 나누는 별자리의 세 구획. 북극 부근의 자미원(紫微垣), 사자(獅子)자리 부근의 태미원(太微垣), 뱀자리 부근의 천시원(天市垣)을 이른다. (9)원망을 사는 세 가지의 일. 벼슬이 높은 사람은 그렇지 못한 사람으로부터, 관직에 있으면서 세력이 크면 군주로부터, 관록이 많으면 백성으로부터 원망을 듣게 됨을 이른다. (10)중국 산수화의 기본적인 세 가지 구도법. 북송(北宋)의 곽희가 그의 저서 ≪임천고치≫에서 설명한 것으로, 고원(高遠)ㆍ평원(平遠)ㆍ심원(深遠)을 이른다.
  • : (1)문장을 쉽게 짓는 세 가지 방법. 보기 쉽게 쓰고, 쉬운 글자를 쓰며, 읽기 쉽게 쓴다.
  • : (1)삼악도(三惡道)인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의 고난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세계의 종말에 일어난다는 대화(大火), 대풍(大風), 대수(大水)의 고난을 통틀어 이르는 말. (3)제조업 경영에 어려움을 주는 세 가지. 전력난, 수자원난, 인력난을 이른다.
  • : (1)삼의 줄기를 벗겨서 꼰 끈. (2)‘탯줄’의 방언
  • : (1)‘삼점하다’의 어근.
  • : (1)대종교에서, 사람들이 타고난 마음ㆍ기운ㆍ몸의 세 가지를 이르는 말. (2)병사가 전장에서 잊어야 할 세 가지 일. 명(命)을 받고서는 가정을 잊고, 전투를 할 때는 부모를 잊고, 병력이 움직일 때는 자신을 잊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기(史記)≫에 나오는 말이다. (3)벼슬아치를 발탁할 때 공정한 인사 행정을 위하여 세 사람의 후보자를 임금에게 추천하던 일. (4)시호를 정할 때 세 가지를 들어 그 가운데 하나를 택하던 일.
  • : (1)세 번 거듭 절함. (2)세 번 무릎 꿇고 배례(拜禮)함. (3)극락에 왕생하는 사람을 수행의 정도에 따라 나눈 세 가지. 상배, 중배, 하배를 이른다.
  • : (1)생삼으로 거칠게 삼은 신. (2)해와 달과 별의 세 가지를 이르는 말. 별은 특히 북두칠성을 이른다. (3)성질에 따라 나눈 부처의 세 가지 몸. 법신ㆍ보신ㆍ응신 또는 자성신ㆍ수용신ㆍ변화신 따위가 있다. (4)아기를 점지하고 산모와 산아(産兒)를 돌보는 세 신령. (5)대종교에서, 조화신 한임, 교화신 한웅, 치화신 한검의 삼신을 이르는 말.
  • : (1)‘삼라하다’의 어근.
  • : (1)240올의 날실로 짠 베라는 뜻으로, 성글고 굵은 베를 이르는 말. (2)중생을 열반에 이르게 하는 세 가지 교법. 성문승, 독각승, 보살승이다. (3)같은 수를 세 번 곱하는 일. 또는 그렇게 하여 얻어진 수.
  • : (1)부처의 가르침을 깨달아 아는 세 가지 지혜. 문혜, 사혜, 수혜를 이른다.
  • : (1)‘삼베’의 방언
  • : (1)어떤 분야에서 남들보다 뛰어난 세 사람. (2)중국 한(漢)나라 고조 때의 세 신하. 소하, 장양(張良), 한신을 이른다. (3)중국 촉한의 세 영웅. 제갈량, 관우, 장비를 이른다.
  • : (1)몫이나 배당 따위를 나눌 때, 전체를 10으로 보고 3 대 7로 나누어 가지는 일. (2)스물한 살을 달리 이르는 말. (3)아이가 태어난 후 스무하루 동안. 또는 스무하루가 되는 날. 대개는 이날 금줄을 거둔다. (4)‘삼칠초’의 북한어.
  • : (1)천태종에서 이르는 세 가지 교의. 만유 제법의 본체로서 거짓되지도 아니하고 변하지도 아니하는 진성궤(眞性軌), 범부의 미혹한 마음을 없애고 진리를 나타내는 지혜의 작용인 관조궤(觀照軌), 지혜로서 진리를 나타내는 데 도움이 되는 수행인 자성궤(資成軌)를 이른다.
  • : (1)보통 십 년을 일석(一昔)이라 하는 데서, 삼십 년을 이르는 말.
  • : (1)지형의 세 가지 형태. 고지(高地), 하지(下地), 평지(平地)를 이른다.
  • : (1)한 번 썼던 말이나 한 번 했던 일 따위를 세 번 되풀이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나이가 세 살 된 말
2 3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

실전 끝말 잇기

삼으로 끝나는 단어 (356개) : 비차폐 연선 삼, 섬유 아세포 생장 인자 이십삼, 개현삼, 채삼, 갈삼, 설령개현삼, 수장삼, 산고사리삼, 바이삼, 흑삼, 무삼, 잡미삼, 중의적삼, 윗삼, 단수 편삼, 겹장삼, 고의적삼, 캐나다발삼, 오염도 삼, 자삼, 늑삼, 직삼, 하삼, 포삼, 이부프록삼, 머삼, 일각삼, 음삼, 깎은당한삼, 세레나타 삼 ...
삼으로 끝나는 단어는 35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삼으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273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